본문 바로가기
장애아동의 모든 것

반드시 알아야 할 영유아와 아동의 대근육 소근육 발달 체크리스트

by 지니바니쌤 2023. 3. 5.

 

 

안녕하세요 지니바니쌤입니다.

오늘은 영아기의 운동 기능발달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이들이 태어나고 자연스럽게 해낼 수 있는 운동이 있는 반면에 그렇지 못한 운동 기능들도 있어서 고민인 분들이 계시거나 우리 아이가 지금 현재에 제대로 된 발달 과정을 거치고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한 번에 정리를 해보려도 합니다.

 

아기가 엎드려 고개를 들고 기어가고 걷고 등의 과정을 겪을 때 마다 주변에 알리듯이 이러한  아이의 성장은 정상적인 발달과 신경계가 적절하게 발달하고 있다는 정상성의 중요한 지표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를 양육하면서 잘 관찰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영아기에는 골격과 같이 근육의 조직이 약하고 작습니다.

출생 시 근육조직의 35%가 수분이며 이후 청년기까지 꾸준하게 발달하여 두꺼워지고 단단해 집니다.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의 발달 

운동기능은 대근육 기능과 소근육 기능의 발달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출생하여 신체 통제력이 없는 존재에서 점점 걷고 뛰고 공을 던지는 등의 비약적인 대근육의 발달을 보여줍니다.

 

 

아래는 발달 순서를 나타낸 것입니다. 운동 발달에는 개인차가 크게 있기 때문에 어떤 아기는 평균보다 빠르게 발달하기도 하고 어떤 아기는 늦게 발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빠르게 발달을 하게 되는 경우 그만큼 주변 환경 속에 존재하는 위험요소에 노출이 높아 사고의 위험도 커지기 때문에 보호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발달이 늦다 생각이 되는 경우 영아기에 충분하기 연습을 할 기회가 없거나 보호자의 과잉 보호로 인해 운동을 못하게 하면 운동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지체가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보호가 필요합니다.

 

 

대근육 운동의 발달

대근육 운동은 기어다니기, 서기, 걷기, 뜀뛰기, 달리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리기, 공 던지기와 같이 몸통, 팔, 다리와 같은 대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시기 운동 발달 내용
4주 이전 엎드려 놓으면 머리를 들려고 하며 누워있을 때에는 한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있다.
1개월(4주) 목을 가눈다. 엎드린 자세에서 영아를 들었을 때, 고개가 아래로 쳐지지 않는다. 
4개월(16주) 뒤집기를 할 수 있다. 엎어 놓으면 머리를 90도로 들 수 있고, 반듯이 누워 있으면 몸을 약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7개월(28주) 앞으로 기울이면서 앉을 수 있고, 세우면 다리를 껑충 껑충 뛰고 뒤집을 수 있다.
10개월(40주) 물건을 붙잡는다. 눈과 손의 협응이 가능하다. 기어다니고 붙잡고 설 수 있다.
12개월 혼자 서고 , 한 손으로 잡고 걷는다.
15개월 혼자 걷고, 계단을 기어 올라가고, 공을 발로 찰 수 있다.
18개월 혼자 잘 걷는다. 한 손으로 잡고 층계를 걸어 올라간다. 조금씩 뛸 수 있다.
2세 넘어지지 않고 혼자 달릴 수 있다. 발로 큰 공을 찰 수 있다. 계단을 혼자 오르내릴 수 있다.

 

 

소근육 운동의 발달

소근육 운동에는 손으로 물건 잡기, 손가락으로 물건 집기, 글씨 쓰기, 가위로 오리기, 단추 채우기, 끈 묶기 등 몸의 소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시기 운동 발달 내용
4주 이전 움직이는 물체나 소리에 반응한다.
1개월 눈에 보이는 사물을 응시한다. 물체의 움직이는 중앙선을 따라 응시 가능하다. 이때 손으로 잡으려고 하지 않는다.
2개월 주먹을 쥘 수 있고, 손안에 사물을 잠시 동안 쥘 수 있다.
3개월 사물을 보고 손을 뻗는다. 손을 폈다 주먹을 쥐곤 한다.
4~5개월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를 주시할 수 있다. 장난감을 보면 잡으려고 손을 옴지락거린다. 물체를 주면 잡을 수 있다.
6~7개월 매달려 있는 장난감을 팔을 뻗어 잡을 수 있다. 잡은 장난감을 다른 손으로 옮겨 쥘 수도 있으며, 장난감을 흔들수도 있다. 손가락으로 물건을 쥘 수 있다.
8~9개월 손바닥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다.
10~11개월 숨겨진 장난감을 찾을 수 잇고, 2개의 장난감을 쥐고 맞부딪혀서 소리를 내기도 하고, 미세한 동작도 가능해 작은 물체를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다. 
12개월 양말, 모자를 벋을 수 있다. 큰 물체를 잡기 위해 두 손을 사용한다. 음식을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정확히 집어서 먹을 수 있다. 공을 던질 수 있다.
15개월 크레용으로 선을 그리는 시늉을 한다. 2개의 정육면체를 쌓을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조각들을 병에 담을 수 있다.
18개월 컵에 입을 대고 마신다. 3개의 정육면체를 쌓을 수 있다. 크레용으로 종이 위에 마구 그을 수 있다.
24개월 숟가락을 사용해 밥을 먹을 수 있다. 옷을 벗을 수 있다. 6개의 입방체를 쌓을 수 있다. 수평선을 그리고 원을 그리는 흉내를 낼 수 있다. 큰 공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초기 2년 간의 운동발달은 유아기 동안에도 계속 작용합니다.

유아들을 이전에 습득한 능력을 보다 더욱 더 복잡하고 역동적인 행동체계로 통합을 합니다.

 

 

시기 소근육 운동 발달 내용
3세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가락으로 작은 물체 잡기, 엎지르지 않고 액체 담긴 용기 옮기기, 물을 잔에 따르기, 서툴게 낮은 탑 쌓기, 단순한 그림 조각 맞추기
4세 블럭으로 탑을 쌓고 신발 끈을 맬 수 있고 선을 따라 가위질을 할 수 있다. 서툰 글씨 쓰기, 혼자서 옷을 벗고 입을 수 있다.
5세 블럭으로 집과 같운 구성물인 건물을 만들 수 있으며, 종이를 반으로 접고 4분의 1로도 접을 수 있다.
글자나 숫자를 보고 베껴서 쓸 수 있으며, 크레용으로 선 안에 색칠할 수 있다. 정교화된 가위질을 보인다.
7~8세 숟가락과 젓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유아기의 일반적인 성장패턴 체크 리스트

 

시기 내용
3세 - 세 발 자전거를 탈 수 있으며, 한쪽 발로 잠깐 설 수 있다. 계단을 한쪽 발씩 딛고 올라갈 수 있다.
-9~6개의 정육면체를 쌓을 수 있다. 원과 십자를 보고 그릴 수 있으며 자신이 그린 그림을 설명하는 아이도 있다.
-혼자서 양말과 신발을 신을 수 있고, 단추를 채우고 풀 수도 있다. 혼자서 손을 씻는 것도 가능하다.
-자기의 성과 이름을 말할 수 있다. 수를 셋까지 셀 수 있다. 사용하는 어휘는 평균적으로 대략 398개이다.
4세 -서툴지만 가위질을 할 수 있다. 한쪽 다리로 4~8분 동안 서 있을 수 있고 한쪽 발로 뛸 수도 있다. 
-사각형을 보고 그릴 수 있다. 사람을 그리라고 하면  두 부분 이상을 그리게 된다. 한 두가지의 색깔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혼자서 옷을 입을 수 있다. 양치질을 할 수 있다. 세수를 하고 수건으로 손과 얼굴을 닦을 수 있다. 
-넷까지 셀 수 있고 자신이 생각한 대로 이야기 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어휘의 수는 평균적으로 1,540개 이다.
5세 -멀리뛰기와 줄넘기를 할 수 있고, 한쪽 발씩 발을 바꾸어 뛸 수도 있다.
-머리, 몸통, 다리가 있는 사람을 그릴 수 있으며, 물건을 보고 10까지 정확하게 셀 수 있다.
-네 가지의 기본 색을 정확하게 알고 단어의 의미를 물어본다.. 사용 어휘의 수는 대략 2,072개 정도이다.
-겁을 많지만 충동적이고 모험심이 있다. 친구들과 하는 경쟁놀이를 좋아한다. 단체 생활의 규칙을 이해하게 된다.
6세 - 눈을 감고 한 쪽 발씩 번갈아 가면서 서 있을 수 있다. 마름모꼴을 보고 그대로 그릴 수 있다.
-5이하의 수를 더하고 뺄 수 있다. 30까지 수를 셀 수 있으며, 오른쪽과 왼쪽을 구분하게 된다.
-사람을 그리라고 하면 두 손이 있고 얼굴과 목이 있고 옷을 입은 사람을 그리게 된다.
-사용하는 어휘의 수는 평균적으로 2,562개며, 문법에 맞게 정확하게 말할 수 있다. 

 

 

위의 표는 유아들의 일반적인 성장을 나타내주는 표로 모든 유아가 동일하게 자라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겪고 보이는 행동들을 적어놓은 표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혹시나 발달 속도가 느린 것 같아 걱정이 되신다면 가까운 병원이나 아동발달센터에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직접 검사를 해보고 결과를 받아보면 아이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게 되고 양육에서 부족한 점은 없는지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꼭 추천드리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