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아동의 모든 것

지적장애란? 우리 아이의 느림을 이해하는 방법

by 지니바니쌤 2025. 4. 24.

 

 

 

 

안녕하세요. 지니바니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님들께서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지적장애’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려고 해요.

 

 

 

지적장애란 무엇인가요?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는 평균보다 낮은 지능 수준과 함께, 일상생활 기술 습득에도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 장애입니다.

즉, 단순히 학습이 느린 것을 넘어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사회성, 자기관리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도움이 필요한 상태를 말해요.

 

 

진단 기준 (DSM-5 기준)

  • 지적 기능 저하: 언어, 추리, 계획, 판단력 등에서의 전반적인 저하가 있습니다.
  • 적응 행동의 어려움: 일상생활, 학교생활, 사회활동에서 지원이 필요합니다.
  • 발달기(18세 이전)에 시작됨

 

지적장애 아동의 특징

1. 인지적인 어려움

  • 개념을 이해하고 일반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 기억 유지력은 괜찮은 편이지만, 응용력은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 ‘설명만으로는’ 잘 배우지 못하고, ‘직접 해보며’ 익히는 것을 선호합니다.

2. 언어 및 의사소통

  • 문장 구조가 단순하고, 어휘력이 부족할 수 있어요.
  • 질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대화가 단절되기도 해요.
  • 의사 표현이 부족해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도 많아요.

3. 사회성 발달

  • 또래와의 놀이에서 규칙을 이해하지 못해 소외되는 경우가 있어요.
  • 감정 조절이나 자기 표현이 어려워 친구들과 갈등이 생기기도 해요.

4. 적응 행동

  • 시간, 돈, 길찾기 같은 일상생활 개념 이해에 시간이 오래 걸려요.
  • 자기 옷 입기, 식사하기 등의 기본 생활도 반복 학습이 필요합니다.

 

치료사의 관점에서 드리는 조언

지적장애 아동은 ‘발달이 느린 것’이지, ‘발달이 멈춘 것’이 아니에요.
반복적이고 일상 중심적인 자극을 통해 조금씩 성장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지시와 반복적인 일상 루틴이 큰 도움이 됩니다.
  • 눈으로 보고, 손으로 직접 하며 배우는 활동이 효과적이에요.
  • 작은 성취라도 함께 기뻐해주는 부모님의 반응이 아이에겐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또래보다 느릴 수 있지만, 그만큼 더 따뜻하고 성실한 아이들이 많아요.
아이의 속도에 맞춰 기다려주고, 응원해주는 가족이 있다면 그 아이는 충분히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함께 기억해 주세요

“지적장애는 끝이 아니라, 이해와 지원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시작입니다.”

앞으로도 장애 유형별로 부모님들께 도움이 될 정보를 이어서 정리해드릴 예정이에요.
다음 글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해 자세히 다뤄드릴게요.

 

※ 이 글은 학부모 교육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진단 및 치료는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댓글